석문호흡

수행도담

4. 도인사회의 구현 2) 도인사회의 핵심개념 (2) 완성을 향한 진화와 발전

글쓴이: 도담지기



석문사상 증보2판


4. 도인사회의 구현

2) 도인사회의 핵심개념

(2) 완성을 향한 진화와 발전

인간은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이 완성이며 완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이 완전하지 못한 이유는 모든 것을 다 알지 못해서가 아니라 진정한 자신의 존재성과 존재가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의 존재성과 존재가치를 모르기에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남이 알아주기를 바라며 극단적인 거짓말도 서슴지 않는다. 이것이 인간의 불완전한 모습이다.

자신이 알 수 있는 영역과 알 수 없는 영역을 정확하고 명확하고 확고하게 아는 것만큼 큰 깨달음은 없다. 이러한 깨달음은 자신이 누구인지 그 근본을 알게 될 때 가능하다. 즉 인간은 자신의 존재성과 존재가치를 정확하고 명확하고 확고하게 알 때 비로소 온전하고 완전해진다. 자신이 알 수 있는 것과 알 수 없는 것 사이의 경계를 정확하고 명확하고 확고하게 알게 되므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완전함과 불완전함에 내재된 이치와 원리를 조금만 더 살펴보자. 인간은 과정의 불완전함조차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완전함을 지향하므로 현재의 불완전함을 외면하고 잘 인지·인식·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불완전한 것은 틀린 것이며 좋지 않은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완전한 것은 그 자체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불완전한 것을 성찰하고 탐구하여 인지·인식·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집착과 자만이 문제다. 불완전하다는 것은 인간 고유의 존재적 특성·특징·특색이다. 인간의 존재적 특성·특징·특색인 불완전함 속에는 변화를 주체·주도·자율적으로 판단·선택·결정하며 더 나은 모습을 창조해 갈 수 있는 개체의지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불완전하다는 것은 인간이 왜 완성을 이루어야 하는지 존재의 본(本)과 정체성을 알려 주는 일종의 상승 신호로서, 온전함과 완전함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천지만물 중 불완전하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존재는 인간이 유일하다. 그 이외의 만물들은 자신 스스로 불완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확히 말하면 그러한 개념 자체가 없다. 인간도 처음 창조되었을 무렵에는 불완전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나 개념이 없었다. 마치 선과 악에 대한 인식이나 개념이 없었던 것과 같다. 그런데 천지인이 분화·변화·발전하면서 인간의식이 본격적으로 상승·확장·발전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완전함을 추구하는 상승 본능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승 본능이 의식·인식·습관의 기저에 남아, 이후 인간은 자신의 근본을 찾으려는 노력과 함께 더 나은 것을 지향하는 상태·행위·현상을 추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영과 육의 세월을 거듭하는 과정과 절차에서 하늘세계에 대한 기억이 잠재의식 속에 남아 있기에, 무의식적으로 불완전함을 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현실 속에서 비교의식을 통해 드러내게 된다. 즉 문화와 문명이 시작된 이래 자신의 의식이 성장하고 발전하면서 현재의 상태·행위·현상을 끊임없이 비교하고, 이를 통해 불완전함을 인지·인식·인정하면서 반대로 완전함을 추구하게 된다. 완전함과 불완전함의 개념을 인식하면서부터 무엇이 나에게 이로운 행이고, 이롭지 못한 행인지를 알게 된다. 이처럼 인간의식은 상대적 비교를 통해 변화하며 성장해 왔다. 비교를 통해 보다 완전해지기 위한 진화의 과정과 절차를 밟아 왔던 것이다.

앞으로 도인문화와 도인문명이 이루어지는 시대에는 완전함에 대한 이해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으로 변화할 것이다. 첫째, 변화가 가능한 존재에게만 완전함과 불완전함의 개념이 있을 수 있으며 둘째, 불완전한 것 또한 완전함의 일부라는 것이다. 가변적 다양성으로 인해 생겨난 불완전함도 완전함에서 나왔기에, 완전함 속에는 이미 불완전함이 내포되어 있다. 인간은 불완전했기 때문에 완전함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화와 발전을 이루어 왔고, 하늘은 이미 완전했으므로 창조된 모든 것들이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는 원시반본, 만법귀일을 통해 조화와 완성의 거듭남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조가 이루어진 순간부터 도의 이치와 원리에 따라 조화와 완성을 향한 원시반본, 만법귀일의 역사가 만들어졌고, 이로 인해 불완전함의 개념도 나올 수 있었다. 불완전함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인간은 한층 더 조화로운 공부의 과정과 절차를 밟아 완성의 길을 가게 된다.

-다음 주제-
2) 도인사회의 핵심개념 (3) 자유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