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도담지기
석문사상 증보판
本
1부 태공창조역사와 후천완성도법
2장 한桓
1. 한 (p87~88)
한의 원래 표기는 한(아래한)으로, 이는 ‘근원의 하늘’을 이르는 말이다. 하나, 크다, 조화롭다, 영원하다 등의 의미로도 해석되며 궁극적으로는 대우주 삼라만상의 근원인 ‘창조의 빛’을 의미한다.
실제로 한桓은 태공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즉 태공이 어떠한 목적으로 창조되었는가를 암시한다. 한의 한자를 파자해 보면, 나무 목木 변과 두 이二 사이에 해 일日, 즉 태양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목木은 오행의 방위로 볼 때 동방을 뜻하고, 동방은 새로운 빛이 시작되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나무[木]는 태초로부터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신성적 매개체로 인식되므로, 이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하나로 잇고 가교하는 도인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중략..)
즉 한桓의 시작과 과정, 완성은 도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70 | 4. 도인사회의 구현 2)도인사회의 핵심개념 (1)1인조화완성시대(통합지성과 조화지상 계속1) | 도담지기 | 2022-06-13 |
69 | 4. 도인사회의 구현 2) 도인사회의 핵심개념 (1) 1인조화완성시대(통합지성과 조화지성) | 도담지기 | 2022-06-06 |
68 | 4. 도인사회의 구현 2) 도인사회의 핵심개념 (1) 1인조화완성시대 2 | 도담지기 | 2022-05-30 |
67 | 4. 도인사회의 구현 2)도인사회의 핵심개념 (1)1인조화완성시대 | 도담지기 | 2022-05-23 |
66 | 4. 도인사회의 구현 1) 도인문화를 꽃피울 도인문명의 도래 | 도담지기 | 2022-05-16 |
65 | [석문사상] 2. 도인문화와 도인문명의 원류를 찾아서 2) 금제・봉인・결계된 세상의 중심, 한국의 복원 | 도담지기 | 2022-05-09 |
64 | 3. 도인문화와 도인문명의 원류를 찾아서 1) 새로운 출발점, 한국 | 도담지기 | 2022-05-02 |
63 | [석문사상] 2. 왜 도인문화 ・ 도인문명인가? 2) 철학과 종교의 한계 | 도담지기 | 2022-04-25 |
62 | [석문사상] 인간의 부조화에 기인한 이념과 체제의 한계 | 도담지기 | 2022-04-18 |
61 | [석문사상] 완성의 문명을 향한 서막 | 도담지기 | 2022-04-11 |